- This topic has 0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2 years, 9 months 전에 by 익명. This post has been viewed 582 times
-
-
홈서버를 위한 주 목적이 파일 공유와 서버 연동에 필요한 공간을 많이 확보하고, 이를 잘 관리 하는
것인 만큼, 순수하게 디스크만 가지고 만들기엔 무리이므로,
가상도 필요하면 돌려야 하고, vnc도 땡기면 더 좋기도 하고, 깔끔한 KDE 사용에도 gpu를 꼽아
두면, 보다 좋은 장비를 구축 할 수 있다.
여기에 디스크 장치를 많이 많이 달게 되는데, 각각의 부하 분담과 성능 향샹을 위해서도 필요한
부분이므로, 몇 가지 정보를 공유합니다.
운영체제로 페도라 35 서버용으로, 부팅은 SSD를 써도 되고, 최소한의 동작 보장을 위해서
여려 디스크를 연동해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수명 연장을 고려 한다.
가. 가상화 부분은 많은 공간을 일시적으로 긁고, 쓰고, 지워야 하므로 별도 디스크를 할당한다.
나. 혹시 모를 과부하를 위해 swap 공간을 할당하고, zram 기술이 적용된 페도라를 설치한다.
다. 홈 폴더 부분에 디스크를 별도 할당 해준다.
라. 많이 사용 할 부분이나 과부하를 겪을 디스크 부분을 별도 분리한다. samba, nfs, iscsi
마. 관리용 목적의 다중 서버라면 그래픽 카드를 꼽고, 파일 서버만을 사용한다면 그래픽은 제거.
바. 단일 디스크를 믿지 말고, 다중 백업을 고려한다.
사. 에너지 효율이 좋은 전원장치를 꼭 사용한다. 늘 가동하는 만큼 전원 효율은 정말 중요하다.
- 80 plus gold 이상으로 ...해주면 좋지만, 가급적 좋은 전원으로 80plus 인증 제품으로!
아. 불필요한 서비스를 제거하고, 필요한 목적에 최적하된 데문을 구성한다.
자. 방호벽 구성과 외부 연동 방법을 고려한다. 가급적이면, 허용된 서비스와 장비 보안을 고려한다.
즐거운 주말에 홈서버를 구축해서 나만의 서버를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지, 즐거운 고민을 해본다.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