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RIENDS. FEATURES. FIRST.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

LVM 생성 및 제거 Quick 가이드

게시판 Tech/Tip LVM 생성 및 제거 Quick 가이드

태그: 

  • This topic has 0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15 years, 2 months 전에 by 인베인. This post has been viewed 2660 times
  • #12119
    인베인
    참가자
      게시글147 댓글411 총합558
    @leemgs
     

     

    * 세부내용 참고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LVM-HOWTO#AEN57

    * 커널에서 RAID &  LVM 피쳐를 enable해야 한다.

    LVM ( Logical Volume Manager )의 약어로 논리적인 디스크 관리자라고 할 수 있다.

     

     ● 특징
          -> 작은 용량의 하드 디스크 여러 개를 큰 용량의 하드 디스크 한 개처럼 사용.
          -> 서버 운영 시에 대용량의 별도 저장 공간이 필요할 때 활용.

     ● 용어
          -> Physical Volume ( 물리 볼륨 )  => /dev/sdb2 , /dev/sdb3, /dev/sdb4
          -> Volume Group    ( 볼륨 그룹 )  => Physical Volume을 합쳐서 물리적 그룹 한 개로 만드는 것.
          -> Logical Volume   ( 논리 볼륨 ) => Volume Group을 나눠서 논리적 그룹으로 나눔 ( 1개 이상 )
          -> Physical Extent                  => PV가 갖는 일정한 블럭
          -> Logical Extent                    => LV가 갖는 일정한 블럭

     ● LVM  생성하기
    FC6#> fdisk /dev/sdb     (자신의 장치 이름을 사용 )
    0  Empty           1e  Hidden W95 FAT1 80  Old Minix       be  Solaris boot  
    1  FAT12           24  NEC DOS         81  Minix / old Lin bf  Solaris        
    2  XENIX root      39  Plan 9          82  Linux swap / So c1  DRDOS/sec (FAT-
    3  XENIX usr       3c  PartitionMagic  83  Linux           c4  DRDOS/sec (FAT-
    4  FAT16 <32M      40  Venix 80286     84  OS/2 hidden C:  c6  DRDOS/sec (FAT-
    5  Extended        41  PPC PReP Boot   85  Linux extended  c7  Syrinx        
    6  FAT16           42  SFS             86  NTFS volume set da  Non-FS data    
    7  HPFS/NTFS       4d  QNX4.x          87  NTFS volume set db  CP/M / CTOS / .
    8  AIX             4e  QNX4.x 2nd part 88  Linux plaintext de  Dell Utility  
    9  AIX bootable    4f  QNX4.x 3rd part 8e  Linux LVM       df  BootIt        
    a  OS/2 Boot Manag 50  OnTrack DM      93  Amoeba          e1  DOS access    
    b  W95 FAT32       51  OnTrack DM6 Aux 94  Amoeba BBT      e3  DOS R/O        
    c  W95 FAT32 (LBA) 52  CP/M            9f  BSD/OS          e4  SpeedStor      
    e  W95 FAT16 (LBA) 53  OnTrack DM6 Aux a0  IBM Thinkpad hi eb  BeOS fs        
    f  W95 Ext'd (LBA) 54  OnTrackDM6      a5  FreeBSD         ee  EFI GPT        
    10  OPUS            55  EZ-Drive        a6  OpenBSD         ef  EFI (FAT-12/16/
    11  Hidden FAT12    56  Golden Bow      a7  NeXTSTEP        f0  Linux/PA-RISC b
    12  Compaq diagnost 5c  Priam Edisk     a8  Darwin UFS      f1  SpeedStor      
    14  Hidden FAT16 <3 61  SpeedStor       a9  NetBSD          f4  SpeedStor      
    16  Hidden FAT16    63  GNU HURD or Sys ab  Darwin boot     f2  DOS secondary  
    17  Hidden HPFS/NTF 64  Novell Netware  b7  BSDI fs         fd  Linux raid auto
    18  AST SmartSleep  65  Novell Netware  b8  BSDI swap       fe  LANstep        
    1b  Hidden W95 FAT3 70  DiskSecure Mult bb  Boot Wizard hid ff  BBT            
    1c  Hidden W95 FAT3 75  PC/IX          

    => 여기서 "Linux LVM"의 코드가 "8e"라는 것을 확인.
    Command ( m for help ) : t              
    Partition Number ( 1 - 5 ) : 5          => 파티션의 번호.
    Hex code ( type L to list codes ) : 8e  => 우리가 방금전에 코드 값을 확인 했으니 그 값을 입력
    Changed system type of partition 5 to 8e (Linux LVM) => "Linux LVM"으로 파일 시스템을 변경했다는 메세지임.
    Command ( m for help ) : p              => 테이블 확인. "Linux LVM"형태로 잘 만들어 졌는지 확인
    Command ( m for help ) : w              => 종료

    ※ 이런식으로 파티션은 총 3개를 만들어 50M , 100M, 150M 이렇게 3개의 Linux LVM형태로 변형!

    FC6#> pvcreate /dev/sdb5  => "sdb5"파티션을 물리적인 볼륨으로 변경시킬때 "pvcreate"라는 명령어 사용.
    FC6#> pvcreate /dev/sdb6  => "sdb6"파티션을 물리적인 볼륨으로 변경.
    FC6#> pvcreate /dev/sdb7  => "sdb7"파티션을 물리적인 볼륨으로 변경.
    FC6#> vgcreate myVG /dev/sdb5 /dev/sdb6 /dev/sdb7  
         => 물리적인 볼륨을 볼륨그룹으로 묶어주는 작업. 이 명령을 수행시키면 "myVG"라는 볼륨그룹이 생성됨.
    FC6#> vgdisplay   => 볼륨그룹의 이름과 크기등을 보여준다.

    --- Volume group ---
    VG Name               myVG
    VG Access             read/write
    VG Status             available/resizable
    VG #                  0
    MAX LV                256
    Cur LV                1
    Open LV               1
    MAX LV Size           255.99 GB
    Max PV                256
    Cur PV                2
    Act PV                2
    VG Size               273.45 GB
    PE Size               4 MB
    Total PE              70004
    Alloc PE / Size       64000 / 250 GB
    Free  PE / Size       6004 / 23.45 GB
    VG UUID               DDyOhA-nvMK-20pM-uZiq-65sG-qlBH-31Crgw
    FC6#>
    FC6#> lvcreate -L 340M -n myLG myVG
          => "-L"다음에는 크기를 지정하는 여기서 크기는 "VG size"보다 1~2 M정도 작게
             만드는 것이 좋다. "-n"다음에는 볼륨 파티션 이름과 볼륨 그룹 이름이
             나와야 함. (볼륨 그룹 이름은 방금 생성한 VG name과 동일해야 함.)
          => 그럼 논리 볼륨인 "myLG"가 생성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옴.
    FC6#>
    FC6#> lvdisplay => 논리 볼륨의 정보를 보여준다. ( 이름, 크기 등등... )
           
    FC6#> lvscan
    lvscan -- ACTIVE            "/dev/eos/home" [250 GB]
    lvscan -- 1 logical volumes with 250 GB total in 1 volume group
    lvscan -- 1 active logical volumes
    FC6#>
    FC6#> lvdisplay
    lvdisplay -- please enter a logical volume path
    FC6#>
    FC6#> mkfs.ext3 /dev/myVG/myLG  => "mkfs"를 이용해서 포맷하며, 경로는 "LV Name"의 경로입력.
    FC6#> mkdir /lvmdata            => LVM으로 만든 파티션을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
    FC6#> mount -t ext3 /dev/myVG/myLG  /lvmdata => /lvmdata/ 디렉토리에 마운트 작업
    FC6#> df -h => 용량을 확인( "dev/mapper/myVG-myLG"라는 장치명 및 크기출력됨.)

    ● LVM 지우기
    FC6#> umount /lvmdata => 일단 마운트된 LVM을 해제시키자
    FC6#>
    FC6#> lvremove /dev/myVG/myLG => LVM의 논리 볼륨을 지우는 명령어로 "lvremove"을 사용.
    FC6#>
    FC6#> vgremove myVG => 볼륨그룹을 지우는 명령어로 "vgremove"를 사용한다.
    FC6#>

    이하여백.

    * 오픈소스는 Open Innovationa & 윈윈전략을 도모할 지언정 절대 공짜(무료)임을 뜻하지 않는다.치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지금 이 순간


바쁜 생활중인 태랑입니다~~
페도라 사용과 관련된 일반 안내영상
반갑습니다.
CPU Frequency Scaling(클럭) 조절하기
아치 깔다가 울뻔 --;;;
가입 인사 - Bek7
[Newbie] system-config-display
가입 인사!!!
리눅스용 Terminal Server - XRDP(mstsc) on Fedora 9
페도라 리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