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is topic has 0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14 years, 7 months 전에 by 태랑. This post has been viewed 1325 times
-
-
출처 http://cafe.daum.net/redhat 레드햇 엔지니어 기술공유 카페
RHEL 5에 있는 XFS 파일시스템의 특징은?
XFS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가장 확장 가능한 영역에 도움이 된다라고 하는 XFS파일 시스템이다.
우선 특징적으로 저널링 파일시스템이면서, 성능이 빠른 파일시스템이다. 와우~~
다만 몇가지 한계와 특징들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패키지 설치
이는 XFS에 대한 서브스크립션이 있어야 하고, rhn을 통해서만 다운로드 가능하게된다.>> 제한사항
- 오직 x86_64 architecture만 지원
- 반드시 OS 설치후 만들어져야 한다.
- root와 boot 파티션에서는 서포트 되지 못한다.- 파일시스템 사이즈가 100TB까지 한계
- 최소 Red Hat Enterprise Linux 5.5 (kernel-2.6.18-194.el5.x86_64) 가 필요함>> 사용영역
파티션 종류가 어떠한 업무에서 도움이 될지에 대한 부분은 아래의 링크을 참조단계적인 사용 절차
Step-by-Step
- Red Enterprise Linux 5.5 system를 설치하고 등록한다
- RHN 사이트에 채널에서 해당 채널을 할당한다
- 이는 또한 RHN 이나 Satellite user interface에서 가능 하다
- 아래 명령라인으로도 등록이 가능하다
# rhn-channel -u <rhn-userid> -p <rhn-password> \ -a -c rhel-x86_64-server-scalefs-5
- XFS 시스템 유틸리티들을 설치해라
# yum install xfsprogs xfsdump
- XFS 파일시스템을 만들어라
# mkfs.xfs fs_spec
- fstab 마운트 해라
<< fs_spec fs_file xfs fs_mntops fs_freq fs_passno >>
- 추가적으로 XFS 파일시스템 유틸리티와 완전한 man pages들은 설치된 컴포넌트에 포함되어 있다
/sbin/fsck.xfs /sbin/mkfs.xfs /sbin/xfs_repair /usr/sbin/xfs_admin /usr/sbin/xfs_bmap /usr/sbin/xfs_check /usr/sbin/xfs_copy /usr/sbin/xfs_db /usr/sbin/xfs_freeze /usr/sbin/xfs_growfs /usr/sbin/xfs_info /usr/sbin/xfs_io /usr/sbin/xfs_logprint /usr/sbin/xfs_mdrestore /usr/sbin/xfs_metadump /usr/sbin/xfs_mkfile /usr/sbin/xfs_ncheck /usr/sbin/xfs_quota /usr/sbin/xfs_rtcp /sbin/xfsdump /sbin/xfsrestore /usr/sbin/xfs_estimate /usr/sbin/xfs_fsr /usr/sbin/xfsdump /usr/sbin/xfsinvutil /usr/sbin/xfsrestore
**조금 수정했습니다
오픈소스를 응원합니다 Blog https://hoing.io
Senior Database Administrator(MySQL, Oracle)사이트 이용 문의 사항은 댓글이나 admin@fedoralinux.or.kr 로 메일주세요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