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is topic has 0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1 year 전에 by 익명. This post has been viewed 150 times
-
-
1. cockpit 307 자료정보
https://cockpit-project.org/blog/cockpit-307.html
2. cockpit 설치 및 동작 - 데몬허용
가. cockpit 설치
# dnf install cockpit* --skip-broken -y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cockpit 또는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9090/tcp
# firewall-cmd --reload
# systemctl enable cockpit.socket
# systemctl start cockpit.socket
나. 웹 탐색기(Web Browser)를 열고, https://localhost:9090/ 형태로 접속합니다.
다. 한글 관련 부분은 언어지정을 통해서 변경해 사용합니다.
3. 달라진 점
가. 기존 cockpit의 디스크 관련 부분이 세련되고,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나. 디스크 세부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 미려한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라. 간편한 서버 구성 및 가상화, 컨테이너 관리등도 cockpit 하나에서 처리 할 수 있습니다.
마. gpu 없는 장비도, 고급 구성을 가능하고, qemu를 통한 서버 가상화 구성 및 관리도 간편하게 사용합니다.
4. 기타
cockpit의 진화는 보다 다양한 서버 관리에 특화된 것으로, 미려하고 다른 클러스터 관리를 위해 별도의 구성
없이도, 멋진 장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복잡한 통신 부분이나 구성을 하지 않더래도, 고급 관리 특성을 갖는 cockpit을 통해 간편한 관리가 페도라에서
보다 손쉽게 설치하고 관리 할 수 있게 합니다.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