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RIENDS. FEATURES. FIRST.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

(완료) - 파일형식 변경 및 용량지정 용어의 변화에 따른 빠른 의견수렴

게시판 새소식/정보 (완료) - 파일형식 변경 및 용량지정 용어의 변화에 따른 빠른 의견수렴

  • This topic has 6개 답변, 2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8 months, 1 week 전에 by
    익명. This post has been viewed 265 times
  • #126210
    익명
      게시글188 댓글158 총합346
     

    용어와 파일형식의 기본 시스템 변경에 따른 긴급 의견수렴

    1.파일형식의 변경(페도라 실버블루)

    가. 기존 lvm 형태에서 B-tree 파일 시스템으로의 변경

    new stage

     

    2. 용어의 재정의 반영부분에 따른 변경(해당 용어 구분 정의 번역 부분에 따른 명칭 변경된 부분이 반영됨)

    단위지정값 용어변경됨

    ** 이 부분은 번역 부분에서 KiB(키비바이트) / KB(킬로바이트)와 같은 명칭 번역에 따라 반영되었습니다.

    ** 이와 같은 명칭 적용 부분에 대해서 기존사용(KiB/KB)를 단일 호칭으로 지정하는 부분에서 의견받습니다.

     

    3. 의견 및 커뮤니티 반영부분 진행 (아래 사항 중 하나 또는 의견부탁드립니다.)

    가. 기존 한글화 상태를 유지한다. 킬로바이트/메가바이트/기가바이트

    나. 번역 부분에서 제외시키고, 원래의 값(Kib/MiB/GiB 형태로 놔둔다)으로 유지한다.

    다. 현재 적용된 정확한 명칭으로 놔둔다.

3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26211
      익명
        게시글188 댓글158 총합346
       

      나. 번역 부분에서 제외시키고, 원래의 값(Kib/MiB/GiB 형태로 놔둔다)으로 유지한다.

      와 같이 진행하는데, 이는 공통 언어별 모두 같은 용어와 단위로 변경하고, 설치시 혼란을 막기위해

      해당 용어를 통일해 변경하겠습니다.

       

      unit -set

       

      감사합니다.

       
    • #126213
      익명
        게시글188 댓글158 총합346
       

      해당 부분 용어 변경에 따른 진행부분입니다.

      위의 용어 및 언어가 달라도 단일 단위 체계와 크기 명칭 변경을 제안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진행부분

      lang-set-unit

       
    • #126214
      dxdt
      참가자
        게시글1 댓글1 총합2
      @dxdt
       

      토요일에 긴급으로 의견받는다 해서 아무도 안오신거 같군요.

      OS 언어 한국어로 안 쓴지 오래되어서 저는 관심이 그리 없지만, 의견을 드려보자면 원래 저 내용대로는 Anaconda가 과도한 한글화가 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단위를 한글화한다는 것은 마치 m을 "미터", cm를 "센티미터"로 표시하는 것과 같아보입니다. 아무도 m으로 쓰고 말지 미터로 씁니까? (나)로 유지한 것이 맞아 보입니다.

      이제 lvm이 없어지고 B-tree file system으로 바뀌는 건가요? dropdown list 길이가 길어져서 VGA 해상도에서도 잘 보일까요? 서버보드 그래픽카드는 Matrox같이 drm이 지원하지 않는 모델이 많아 VGA 해상도로 설치했던 기억이 납니다. 심지어 vm 이라도 gd5446으로 쓰는 경우도 있죠. 짤리면 그냥 괄호 내용을 없애버려도 이해하는데 지장 없어 보입니다.

       
      • #126216
        익명
          게시글188 댓글158 총합346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번역 부분에 대한 부분은 실제 용어 정의 부분이었는데, 설치과정에서 그 부분이 적용되어 일부 문제가

        발생된 부분으로, 실제 용어사용(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까지는 괜찮았습니다.

         

        하지만, 타 언어 부분과의 번역부분의 유지, 언어가 단위(크기) 지정의 일관성 부분에서 진행하였으며,

        해당번역 부분을 포함한 타언어(웹레이트)와 일관성 부분에서 통일하도록 작업하였습니다.

         

        한글화(localization) 부분은 중요한 작업입니다. 실무 엔지니어 입장보다는 새로 진입하는 it 인재나

        청소년등의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는데도 한몫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본인은 페도라 서버에 KDE 올려서 웍스테이션 작업과 관련 작업을 병행하고 있는 바, 주 서버

        용도와 관리용도로도 한글화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목 마른 사람이 우물을 파듯이요.

         

        긴급 의견 수렴 부분인 해당 커뮤니티 사용자의 제안을 받고 해당 부분 적용하고자(상호 피드백) 하는

        중요한 채널입니다.

         

        페도라운영체제 뿐만 아니라, 선순환 될 수 있는 과정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rawhide 관련 부분은

        시간나면 번역 적용 및 기술변화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었는데, 페도라 블루실버라는 부분에서 나타는 형태로

        b-tree filesystem이 기본적용됩니다.

         

        이는 다른 페도라 계열 및 레헬에서도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rawhide는 매번 변동 성을 갖고

        있으나, 주력으로 변동되는 부분도 확인 할 수 있는 형태로 매일(주 5회정도) 작성되고 게시됩니다.

         

        멋진 하루보내세요.

         

        written by simmon

        simmon@nplob.com

         
    • #126241
      익명
        게시글188 댓글158 총합346
       

      용어정리-libbytesize

      해당 용어 정리 부분에 대해서, 위와 같이 변경 수정해서 진행합니다.

      해당 용어 부분에 정확한 용어 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해당 프로젝트 보류 부분이 길어짐에 따라,

      병기 형태로 변경합니다. 양해바랍니다.

       
      • #126375
        익명
          게시글188 댓글158 총합346
         

        안녕하세요. simmon입니다.

         

        libbytesize와 관련된 부분의 수정을 다시 한번 요청하였으며, 해당 부분의 대한 수정 부분을 포함하여 적용된 부분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부분은 F41 시험과정에서 동일하게 발생하는 부분이어서 관련된 부분의 수정을 요청하였습니다.

         

        https://github.com/storaged-project/libbytesize/issues/147

         

        libbytesize

         

        해당 부분 담당자의 적용과 새로운 배포판을 제작했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차후에는 적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들 멋진 시간 보내세요.

        by simmon

         
3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지금 이 순간


네트워크인터페이스를 설정했는데 ifcfg-eth1로 잡힙니다
CENTOS5(Host)의 vmware 6.0에 shared folder 만들기
더욱 멋진 변신 그놈(Gnome)
vnc server 설치하는것좀 도와주세요.
geany로 실행파일 만드는데 오류가 나네요
[문의]궁금한점..페도라14에서 시스템 관리메뉴에 보면
멀티부팅
Fedora 서버 사용 - Centos8 종료에 따른 대안에 대한 생각
frysk (시스템 모니터링 & 디버깅 툴)
가입인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