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RIENDS. FEATURES. FIRST.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

자신의 DNS 서버에 도메인 추가한걸 다른 사람들이 조회할 수 없을가요?

게시판 질문게시판 자신의 DNS 서버에 도메인 추가한걸 다른 사람들이 조회할 수 없을가요?

  • This topic has 8개 답변, 2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9 years, 5 months 전에 by
    asasa. This post has been viewed 547 times
  • #13649
    asasa
    참가자
      게시글2 댓글4 총합6
    @ehaakdl
     

    자신의 DNS 서버에 도메인 추가한걸 다른 사람들이 조회할 수 없을가요?

    네임서버 구축후 도메인 정보 추가한 다음에 저의 도메인 정보가 필요할때 제 네임서버를 누군가가 요청해야할 텐데

    제 네임서버를 어떻게 알려야 할가요? root네임서버 부터 시작해서 최상위 도메인 네임서버에서 계층적으로 가서

    저도 저의 네임서버를 저런 큰 네임서버가 원할때 저의 네임서버를 제공해 주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 네임서버에서는 naver같은 큰 사이트는 도메인 정보를 제공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배운바로는 네임서버에서 모를경우에는 알고 있는 다른 네임서버를 통해 가져 온다고 했는대 1차가 안되면 2차 네임서버가아닌 가비아나 다른 호스팅업체들의 네임서버 처럼 저도 저의 네임서버에 서 자체적으로 질의 응답요청을 하고 싶습니다. 이런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제가 생각한건 많은데 글로 잘 표현을 못하겠네요..죄송합니다 혹시 좀 더 필요하신 정보가 있으시다면 댓글이나 쪽지로 요청해 주시면 제가 좀 더 설명해 드리겟습니다.

7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5472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도메인 등록시 네임 서버의 아이피를 등록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네임 서버의 관리는 국가에서 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한국 인터넷 정보 센타에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도메인에 접근시 통합으로 관리하는 DNS 서버에서 등록된 아이피에 의해 각각의 네임 서버에 접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도메인을 등록하시면 조회는 whois에서 도메인, 소유주, 서버의 아이피등을 누구나 조회가 가능 합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네임 서버를 공개한다고 해서 누구나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도메인 소유주가 실제로 사용하게 해야 하는 데
      대개 상업적인 목적에 부합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네임서버를 활용하고 설정하고 싶으시다면 대표적으로 bind등을 설치하여 활용해 보십시오.
      도메인을 등록 하실 때 설정하신 네임서버의 아이피 주소를 등록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대단위의 네임서버를 운용하시겠다면 모르겠으나 한 두개의 도메인을 이용하시는 경우엔
      문제 발생시 직접 서버가 위치한 IDC에 방문해야 할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서버 호스팅 업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네임 서버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나을 것 입니다

       
    • #15473
      asasa
      참가자
        게시글2 댓글4 총합6
      @ehaakdl
       

      호스팅업체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따로 구축한 서버 아이피를 가리키는 도메인을 그 네임서버에다가 등록했다면

      제가 그 도메인을 접속 하려면 그 네임서버만 써야 하는거 아닌가요? 하지만 그 네임서버에 네이버 같은 대중적인 업체가 그 호스팅 업체에 등록을 했다는 보장이 없잔아요 그렇게 되면 제가 그 호스팅 업체에 네임서버를 쓰게 된다면 네이버나 구글 요런곳에는 못들어가지 않나요? 호스팅 업체에 네이버나 구글이 도메인 등록하지 않았을 수도 있으니까요
      물론 2차 네임서버를 한국진흥원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쓰면 접속이 되겟지만 그래도 호스팅 업체같이 큰 곳은 그 정도는 되지 않을가 해서요 궁금합니다.!
       
    • #15474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뭔가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것 같습니다. 도메인은 국제도메인관리기구 ICANN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한국의 것은
      KISA가 자체적으로 DNS DB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1차적으로 통합 DNS 서버에 접속요청을 하면 2차적으로 DB엔 실제 아이피로 매핑할 수 있는 네임 서버의 아이피 주소로 접속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업체든, 개인이 운영하는 네임 서버는 2차적인 요소로 자신들이 관리하는 도메인 접속 요청시 실제 호스팅하는
      사이트로의 접속만 관리 합니다.

      따라서 네임 서버에 네이버, 구글등의 자신이 관리하지 않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 #15475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혹 DNS를 네임 서버와 혼돈하고 계시다면 네트워크 설정시 1차 DNS, 2차 DNS 설정을 네임 서버와 같다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쉽게 혼돈되는 점이 있긴 합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1, 2차 DNS 서버는 인터넷 업체에 따라 아이피가 다른데 도메인을 관리하는 최상위 서버의 복제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DNS 서버는 우리나라의 것을 이용하셔도 되고 다른 나라의 것을 이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가방끈이 짧아 설명을 잘 드린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15476
      asasa
      참가자
        게시글2 댓글4 총합6
      @ehaakdl
       

      우선 좋은 답변 감사 드립니다. 제가 네임서버를 구축후에 말씀하신것 처럼 상위기관에 도메인을 등록하려고 하는대 등록하려는 곳이 한국인터넷 진흥원이 맞을가요? DNS정말 어렵네요..DNS 책만 따로사서 봐도 아깝지 않겟어요..

       
    • #15477
      asasa
      참가자
        게시글2 댓글4 총합6
      @ehaakdl
       

      한가지 더 물어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화이트도메인 등록할 때 그건 상위기관에 도메인등록을 하는건가요?

       
    • #15478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뭐 별로 어려울 것은 없는데...^^ 최상위 도메인 관리 서버는 우리의 손을 거치지 않는 것이므로
      메카니즘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메일을 많이 보내시는 가 봅니다. 화이트 도메인은 KISA에서 신청하는 것이 맞습니다.
      도메인 등록하는 것은 어차피 들어가는 비용은 대동소이 하므로 아무 곳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KISA에선 도메인 신청은 직접적으로 신청을 받지 않습니다. 참고로 화이트 도메인은 대량 메일에 대한 차단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므로 공신력 있는 기간에서 직접 신청을 받는 것으로 압니다.

       
    • #15479
      asasa
      참가자
        게시글2 댓글4 총합6
      @ehaakdl
       

      답변 감사드립니다

       
7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지금 이 순간


fedora13 변경된 점 스크린샷
주말 내내 이곳에 ..
tpm_this
selinux .. 페도라 15를 설치했습니다.
저도 가입인사 드립니다. ^^;
KDE 4.11.x 이상에서 nVidia 동영상 티어링 문제 해결 방법
이번 방학때 어떤걸 목표로 리눅스 공부에 임하는게 좋을까요?
Ubuntu 쓰다가 넘어왔는데...단축키 변경 질문드립니다.
가입했어요
해피 메리 크리스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