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FRIENDS. FEATURES. FIRST.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

페도라 22 설치문제 도움이 필요합니다.

게시판 질문게시판 페도라 22 설치문제 도움이 필요합니다.

  • This topic has 11개 답변, 3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9 years, 2 months 전에 by
    태랑. This post has been viewed 5423 times
  • #13668
    Bangguy
    참가자
      게시글1 댓글4 총합5
    @gksrn87
     

    삼성노트북 NT870Z5G-X28 사용중이고, 윈도우 7 64bit 사용중입니다. (ssd 256gb 사용합니다)

    윈 7은 CSM and UEFI OS에서 설치했고요..

    페도라 라이브 usb를 사용해서 아래 사진처럼 윈도우에서 30gb나눈 곳에 페도라를 설치하려고 했습니다.

    그 후 페도라 라이브 usb로 부팅해서(설치하려는 것은 페도라 22 입니다) 페도라를 설치는데,

    자동으로 파티션 인식하기 보면 저 30기가를 인식해서 거기에 설치는 하는것 같습니다

    근데 문제는 그 설치를 완료하고 나면, 윈도우, 설치한 페도라 모두 인식을 못하고 둘다 부팅을 못합니다.
    (노트북을 켰을때 파티션을 인식못해서 f4를 누르라는 검은 창만 나오고 아무것도 못합니다...)

    덕분에 윈도우만 4번 다시 설치했는데요.. 도데체 어떻게 해야 페도라를 설치할 수 있을까요..
    페도라 22-32bit 라이브 usb라서 설치시 윈도우, 페도라 모든 파티션 자체를 인식못하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고수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그리고 외장하드에 페도라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만 그것으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외장하드도 파티션을 위 사진처럼 나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외장에는 설치를 성공했다면 부팅만 외장하드로 하고 노특북의 기능은 다 사용할 수 있는가요? 정말 궁금했습니다)

    임베디드시스템 공부중입니다.

    아직 기초단계만 공부중입니다!
10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5518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일단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가 뭐한 것 같군요!

      먼저 30G의 파티션 용량이 너무 적군요! 뭐 설치는 되겠지만 /home을 생각한다면 설치 후 얼마 되지 않아 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듯 하군요!

      말씀 하신 느낌으로는 grub가 설치 되지 않은 것 같은 데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지정하거나 lvm으로 지정 하였다면
      따로 /boot 파티션이 지정하실 필요 없으나 btrfs, xfs와 같은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시려면 /boot 파티션의 용량을 최소 300MB 정도는 잡아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grub가 설치될 디스크를 반드시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설치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서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linoxide.com/linux-how-to/install-fedora-22-workstation/

      외장 하드에 설치 하셔도 되고 바이오스에서 disk만 선택해 주시면 사용하시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 #15519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위의 링크에서 주는 파티션 용량들이 매우 편협 하군요! 방법은 활용 하시되 각각의 파티션 용량은 조금 생각의 여지가 있군요!
      디스크 여유가 부족한 경우 btrfs 파티션을 선택하시고 자동으로 용량 생성을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15520
      Bangguy
      참가자
        게시글1 댓글4 총합5
      @gksrn87
       

      위 링크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대상을 선택했습니다. 그렇게 보면 256gb중에 30gb가 사용가능하다고 인식한 후

      그것을 선택해서 자동으로 설치하는거 선택한후 설치를 진행했는데,
      그렇게 설치를 완료한뒤에 재부팅을 하면 윈도우, 페도라 전부 부팅을 못합니다;
      부팅때 f2눌러서 삼성 바이오스 들어가서 실행 우선순위 고르는 창 봐도 아무것도 잡히지 않게 됩니다..
      그렇다고 파티션이 다 날라간것도 아니였습니다.(파티션은 존재하는걸 확인했었습니다)
      지인이 설치한 방법 똑같이 설치했는데 제 노트북에는 설치가 안되네요;

      임베디드시스템 공부중입니다.

      아직 기초단계만 공부중입니다!
       
    • #15521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grub 화면이 뜬다는 것인지 안 뜬다는 것인지의 의미가 전달되지 않고 있습니다.

      grub 메뉴 엔트리를 선택했을 때 부팅이 안된다는 것인지요?? 아니면 아예 grub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인지요??
      전자라면 /boot/grub2/grub.cfg의 디스크 UUID의 정확성을 확인하시고 후자라면 디스크 선택에서 grub가 설치될 위치를 MBR로 지정 하셨는 지와 UEFI Secure boot 기능을 해제하셨는 지를 확인해 보십시오.

       
    • #15522
      Bangguy
      참가자
        게시글1 댓글4 총합5
      @gksrn87
       

      메뉴 엔트리도 안나옵니다  grub화면이 아예 안나옵니다.

      윈도우도 페도라도 선택할 수 없습니다(grub화면이 윈도우,페도라 선택해서 부팅할 수 있는 그것 말하는거 맞나요?)

      임베디드시스템 공부중입니다.

      아직 기초단계만 공부중입니다!
       
    • #15523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네 grub 화면이 맞습니다. 일전에 정보 제공에 대한 말씀 드렸습니다만 제공을 안해 주시네요...!!

      위에서 답변 드린 후자의 경우 같습니다만 파티션 설정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단정 하기는 뭐하군요!
      요즘은 UEFI Boot에 대한 지원은 페도라에서도 충분히 지원 하는 터라 바이오스 설정이 잘 못 된 경우를 제외하면
      부팅에 별다른 이상이 있을 수 없습니다.

      바이오스에서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s) > Boot Mod에서 CMS인지  UEFI인지 확인 하시고
      Security 항목에서 Secure Boot가 Enable인지 Disable인지 확인해 보십시오.

      각각의 컴퓨터의 바이오스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므로 용어와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하십시오.
      윈도우 7을 사용하시는 데 UEFI 사용이 필요한지는 의문인데 말입니다. 뭐 알아서 하시겠지요...^^

      바이오스를 확인 하신 이후 사용상의 차이점이 있다면 새로 설치해 보시고 다음에 재질문시에는 파티션을 어떻게 하셨는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일전에 말씀 드린 자동으로 파티션 설정시 디스크 선택 화면에서 automatic을 선택하지 마시고
      I will configure 어쩌구를 선택하신 뒤에 나오는 화면에서 파일시스템을 btrfs를 선택하신 뒤 위쪽에 있는 자동으로 파티션을 클릭하여 설정 하여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

      입문자에겐 그게 나을 것 같군요! 설정 후 파티션 정보를 유념히 보아 두시기 바랍니다.

       
    • #15524
      Bangguy
      참가자
        게시글1 댓글4 총합5
      @gksrn87
       

       

       
       
       
       
      바이오스 모드껀 핸드폰으로 찍은걸 양해 바랍니다 ㅠ
      바이오스 에선 위 사진내용이랑 같습니다. 파티션도 지금 윈도우만 설치된 상태라서 제일 위에 사진과
      동일합니다.
      파티션 설정의 정보가 정확하게 무엇을 말하는건지 제가 잘 몰라서 이렇게밖에 ㅠ
      새로 설치를 시도해보는것도 괜찮겠지만 4번 실패한데다 학기중이라 지금 또 실패하면 문제가 큽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알고 시도하려고 하는데 정말 어렵군요;

      임베디드시스템 공부중입니다.

      아직 기초단계만 공부중입니다!
       
    • #15525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일단 그림상으로 보면 별다른 점은 없는 데 CSM and UEFI의 의미가 보통의 Legacy module과 UEFI 둘다를 지원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면 바이오스 상에서의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보다 정확하게 둘 중 하나만 선택이 가능 하다면 그것으로 선택 하십시오. (리눅스에선 이부분이 문제일수도 있을 것 같군요!)

      CSM을 선택시에는 MBR에서 페도라, 윈도우 7 메뉴가 UEFI에선 페도라와 윈도우 부트 매니저 영역이 grub 화면에 나오게 됩니다.

      추측으로는 뭔가가 MBR 영역을 보호하고 있지 않나라고 생각 됩니다. 윈도우 7은 MBR 전용이므로 UEFI가 필요 없는 데 아마도 해당 파티션 삭제 없이 윈도우 8이상의 버전에서 다운 그레이드 하신 것 같습니다.

      제가 원인을 찾자면 그림대로 바이오스 설정 후 페도라를 설치 하셨다면 위의 이유 말고는 논리적 설명이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저도 이 부분이 정확한 추측인지 확실하지 않으므로 이 부분을 잘 아시는 분께서 답변해 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10여년 이상 리눅스만 사용하고 있어 꼭 위에서 말씀 드린 부분이 문제다라고 자신할 수 없습니다
      ...ㅠㅠ)

      파티션 정보는 님께서 어떤 파일 시스템으로 얼마만큼의 용량으로 하드를 세분화 하였는지의 정보입니다.
      /boot는 얼마? 루트는 얼마? /home은 얼마? swap은 얼마 만큼 주셨는지의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자동으로 설치를 하더라도 내역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초보자에겐 LVM 같은 머리 아픈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지 마시고 btrfs 파일 시스템을 선택 하시고
      자동으로 설정 하기를 클릭 하여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boot는 500MB ext4 파일 시스템, swap은 8G, 나머지는 btrfs로 루트와 홈이 함께 잡히게 됩니다.

       
    • #15526
      Bangguy
      참가자
        게시글1 댓글4 총합5
      @gksrn87
       

      아 원래 이 노트북이 윈도우 8이였습니다.

      그때 페도라 설치하다 실패한 후, 복구가 안되서 서비스센터 기사님 불러서 파티션 전부 완전 삭제한 후
      윈도우 7으로 재설치했습니다.
      그 후에 다시 페도라 설치했었는데도 실패했었는데,  그 기사님이 말하시길 우린 윈도우 쪽만 다뤄서 리눅스 문제는
      잘모르겠다고 하시더군요;
      그 분도 mbr영역 무언가라고 하시긴 하셨었는데 원인을 모르겠다 하셨습니다
      정말 리눅스를 설치하고 싶은데 방법을 잘 모르겠네요 ㅠ
      리눅스 대리 설치 서비스 같은거라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임베디드시스템 공부중입니다.

      아직 기초단계만 공부중입니다!
       
    • #15527
      난해주님
      참가자
        게시글114 댓글334 총합448
      @workman729
       

      제 생각엔 윈도우 파티션 중 100MB 짜리 UEFI 파피션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윈도우 7 설치시 이 파티션을 날리고 새로 시스템 예약 파티션 100MB를 만들어야 하는 데 그냥 놔둔채 C 드라이브만 포맷 후 윈도우를 설치한 것 같습니다.

      윈도우는 그래도 됩니다. 그러나 리눅스에서는 윈도우 7은 MBR에서만 grub에서 인식 가능 하므로 UEFI 부팅 영역이 있으니 MBR에도 grub 설치가 불가능 하고 UEFI 부팅 영역에서도 인식이 불가능 한 것 같습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시스템 예약 파티션이란 윈도우 8용 UEFI 파피션과는 그 내용이 조금 다르므로 리눅스 설치시 윈도우 8이상 윈도우 부팅역역을 처리 할려고 할테니 뭔가가 맞지 않을테고 그래서 grub 화면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답은 바이오스에서 CSM 부트(Legacy) 전용으로 바꿔서 디스크의 파티션을 완전 삭제 후 윈도우 7을 설치하고 난 뒤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것인 것 같습니다. 윈도우 8을 설치할려면 바이오스에서 UEFI 전용으로 해서 또한 파티션을 완전 삭제 후 다시 설치하시고 리눅스를 설치하신 다면 이상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다만 위의 사항은 저의 예측일뿐이니 해당 경험이 없으므로 험이 있으신 분께서 이 부분을 체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5528
      태랑
      키 마스터
        게시글303 댓글1086 총합1389
      @admin
       

      저는 항시 애기하는데..
      virtualbox 나 vmware workstation 을 이용하여 가상화 환경에서 리눅스 설치를 권유 드립니다.

      오픈소스를 응원합니다 Blog https://hoing.io
      Senior Database Administrator(MySQL, Oracle)

      사이트 이용 문의 사항은 댓글이나 admin@fedoralinux.or.kr 로 메일주세요

       
10 답변 글타래를 보이고 있습니다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지금 이 순간


Fedora17에서 18로 업글
모두 화이팅..수능 대박 기원!
리눅스 릴리스 종류에 대한 질문(16th Mar 2011)
창틀 테마 설정
gsmartcontorl으로 체크된 hdd 에러 내용입니다.
LogFS를 지원하는 페도라버젼이있나요?
페도라 17 기본 폰트가 나눔 폰트가 될 수도 있을 듯...
페도라 F41에서 zabbix 설정관련 참고자료
[ /]와 [ ~]의 차이점은요?^^
DiskLess Computer 네트워크 부팅방법이요.. 급구